기타

전원주택, 연면적, 건축면적, 건폐률, 용적률

똥짱89 2020. 12. 21. 00:13

연면적이란?

대지에 들어선 건축물의 전체 층의 바닥 면적을 모두 합한 것으로,

건축 각층의 바닥면적의 총합이다. 연건평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 연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용적률이 높다는 의미는 건축물의 높이가 높거나 넓어서 건축물의 내부 공간이 많다는 의미이다.

국토계획법에 따라 용적률도 제한되어 있는데, 도시지역 1종 일반주거지역의 경우 100%~200% 이하이고,

농립 지역의 경우 50%~80%이다. 

용적률 공식

용적률 = 건축 연면적 / 대지면적 * 100

 

*용적률을 산정할 때는 아래와 같은 면적은 제외한다.

1. 지하층 면적

2. 지상층의 주차면적

3. 주민 공동시설의 면적

4.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 구역

 

건축면적이란?

건물 1층의 바닥면적을 건축면적이라고 한다.

건축면적은 건폐율 산정의 기준이 됩니다.

 

건폐율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건폐율이 높다는 의미는 대지에 건축되는 부분이 많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건폐율이 70%라면 대지면적의 70%에 한해서 건물을 지을 수 있다는 뜻이다.

건폐율 공식

건폐율 = 건축 면적 / 대지면적 * 100

국토계획법에 건폐율을 규제하고 있는데, 그 목적은 대지 안에 최소의 공지를 확보하여 건축물의 과밀을 방지하여 일조, 채광, 통풍 등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있다.

도시지역의 일반 주거지역의 경우 건폐율은 60% 이하이고, 농립 지역의 경우 20% 이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