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에는 양수발전 프로젝트가 없을까?!
대만에는 TSMC가 있다. 삼성전자를 앞지르는 반도체 기업이다.
TSMC가 RE100을 선언하면서 반도체 생산에 재생 에너지를 이용하겠다고 선언했다.
TSMC는 어떻게 재생에너지를 공급받고 있을까?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수인 반도체 산업에서 간헐적인 재생에너지를 공급받을 때는 에너지 저장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 대만에는 운영되고 있는 양수발전소가 있을까?
이런 것들이 궁금해졌다.
놀랍게도 TSMC는 벌써 2020년 7월 덴마크 국영 풍력발전기업인 오스테드와 기업용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고 1GW에 육박하는 해상풍력 단지 전력을 통째로 공급받고 있었다. 2024년 4월 25일 대만 창화 1&2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준공식을 이미 개최했다. 900MW의 해상풍력 재생에너지를 직접 TSMC 공장에서 공급받고 있는 것이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 최대 규모라고 한다.
대한민국은 삼성이 기술에서 TSMC에 뒤지더지 이제 국가차원의 재생에너지 공급에서도 뒤지고 있는 것이다. 답답하다.
*오스테드 대만 및 창화 1&2a 해상풍력 발전단지
- 2018년 4월 오스테드, 900MW 해상풍력 발전 입찰 선정
- 2019년 4월 창화 1&2a 해상풍력 발전소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
- 2020년 12월 CDPQ와 케세이PE 등 투자자 유치로 창화 1 해상풍력 발전소 개발 가속
- 2021년 2월 육상 변전소 가동
- 2022년 4월 창화 1&2a 첫 해상풍력 전력 생산
- 2022년 8월 아태지역 최대 운영 및 유지보수 허부 출범/하부구조물 설치 완료
- 2024년 4월 전체 111개의 해상풍력 터빈 설치 완료
- 2024년 4월 25일 해상풍력 발전단지 정식 출범
Hai Long Offshore Wind Farm
The Hai Long offshore wind farm is a 1,044MW offshore wind farm project proposed to be developed approximately 50km off the coast of Changhua County in Taiwan.
www.nsenergybusiness.com
이렇게 해상풍력이 많이 증가 했는데 풍력 에너지의 변동성을 보완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은 어떻게 하고 있을까?
대만의 2016년말 기준 에너지 믹스 현황은 석탁화력이 35.4%, 천연가스 31.8%, 석유 8.8% 였는데,
2025년까지 탈원전과 에너지 믹스 천연가스 50%, 석탄 30%, 재생에너지 20%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2018년 국민투표 결과 2025년까지 모든 원자력 발전소를 정지한다는 내용의 전기사업법 95조 1항을 폐지하였다.
2024년 1월 총통 선거에서 당선된 라이칭더 후보가 탈원전 정책을 재검토한다고 밝혔으며, 원전의 수명 연장을 검토하고 있다.
2025년 2월 기준 천연가스와 석탄이 약 83%, 재생에너지 12%, 원자력 5%의 에너지 믹스를 구성하고 있다.
목표 달성이 다소 지연되었으나 지속적인 재생에너지의 증가에 따른 전력망 안정화를 위해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대만의 에너지 저장 목표는 2025년까지 590MW의 배터리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구축, 2030년까지 최소 9GW의 추가 에너지 저장 용량 확보이다.
대만에서 운영중인 양수발전소는 2곳이며 설비용량 2.6GW이다.
Mingtan 양수발전소가 대만 최대의 양수이고 설비용량은 1.6GW, 1993년에서 1995년 사이에 6개의 발전기 가동 시작.
Daguan No.2 양수는 설비용량 1.GW로 1985년 가동 시작.
계획 중인 양수발전소는 2곳이며 시설용량은 540MW로 조사된다(Dajiazi Guangming 양수 368MW, Shimen 양수 40MW).
Denuclearization and Diversification: Energy Security and Taiwan’s Electric Grid under Transition | Global Taiwan Institute
Almost entirely reliant on imported fuel, Taiwan’s energy sector and electricity generation is correspondingly vulnerable to outside influence and disruption. However, fuel imports are not the only concern for Taiwan’s energy security—the state of th
globaltaiwan.org
대만도 재생에너지 비중 증가에 따라 전력 공급의 안전성과 전력시스템의 안전을 위해 양수발전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대만 전력공사(Taipower)는 2016년 기본 저수지를 활용한 양수발전 설비 건설을 평가하기 시작했고, 페이추이 저수지, 서먼 저수지, 데이 저수지, 문단 저수지 등이 후보지로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
Backup of Peak Power Consumption Adds New Force - Truewin Technology
Original Article Link (Click)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continues to increase, and energy storage equipment has become an important support for energy transformation. For this, Taipower has restarted the evaluation of several large-scale pumped st
www.true-w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