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공부

사업계획서 작성

똥짱89 2020. 9. 12. 11:57

"사업 계획서 작성은 기획하는 일과 비슷하다"

 

사업계획서를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 막막하다.

인터넷에 돌아다시는 사업계획서 양식은 쉽게 찾을 수 있다. 단, 그 안을 채워가는 것이 힘들다.

사업계획을 작성하는 것은 어떤 일을 기획하는 일과 같다.

기획이란 어떤 아이디어를 구체화해나가는 과정이다.

 

"기획을 잘할려면 Data수집 및 분석을 잘해야 한다"

 

기획을 잘해 나가기 위해서는 Data수집과 분석이 우선되어야 한다. 신규 사업을 하더라도 절대 비슷한 사례가 없을 수는 없다. 아이디어가 떠 올랐다는 것은 무엇인가 불편한 거나 문제점을 보았기 때문이다.

무에서 아이디어가 나올 수는 없다. 잘 찾아보면 유사한 사례가 반드시 있다. 그 사례를 조사하고 Data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한다.

자료 분석을 통하여 고객과 사용자를 정하면 사업 기획을 쉽게 풀어갈 수 있다. 사용자에는 핵심목표 사용자, 부가 목표 사용자, 확대 목표 사용자의 개념이 있는데, 핵심 목표 사용자를 잘 정의해야 한다.

 

"서비스 디자인의 분석 기법들을 활용하면 좋은 기획서를 만들 수 있다"

 

서비스 디자인 분석에는 4 Step에 8가지 Modules가 있으며 각 모둘별 아래와 같은 분석 기법들이 있다.

사업계획서 또는 기획서 작성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기법은 고객 경험지도, 마인드맵, 브레인스토밍, 서비스 블루 프린터 등이다. 서비스 디자인 개념에서 아이디어의 발굴은  "0"단계이다. 아이디어는 뭔가 시작하는 단계.. 아래 프레임워크를 밟아가는 시작단계이다.

아이디어가 있다고 3단계인 브래인스토밍을 하면 안된다. 조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브래인스토밍을 하면 싸움만하고 일이 진행 안된다.

※ 기타 유용한 기법

1. 퍼소나 분석 Persona

상상의 캐릭터를 만들어 내어 타깃 사용자 그룹 내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사용자들을 나타내는 방법

퍼소나는 좋은 분석 툴이다. 가장 좋은 것은 실제 사용자가 되어 보는 것이다.

2. 역 기획서

기존의 유명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없다고 가정하고 내가 그 상품에 대한 기획서를 작성해 보는 것이다.

 

"심사관들이 자세하게 보는 곳은 창업 아이템 개요이다"

 

심사관들은 사업계획서에서 창업아이템 개요를 가장 많이 본다. 이 부분의 분량을 더 많이 해야 한다. 창업 아이템의 소개를 반 페이지에서 한페이 이상으로 작성하고, 창업아이템의 차별성은 반페이지 정도, 목표시장도 많이 써야 한다. 전체 사업계획서는 약 6장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다. 자료가 더 필요할 경우 별첨 자료로 붙여서 활용하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