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란 Environmental(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를 뜻한다.
최근 투자에서 화두가 되는 것이 ESG 투자이다.
기업경영에 있어서 이 세 가지 항목에 높은 평가를 받는 기업에 투자하는 형태를 eSG투자라고 한다.
갈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한 경영 평가항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익을 위해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지, 오히려 기후변화와 환경보전에 앞장서고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업에 투자자들은 기꺼이 투자하려 한다.
기업의 근본은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지만 버는 만큼 지역과 사회에 얼마나 공헌하는지가 중요해진 시대이다.
여러 이해관계자들을 고려한 경영을 하는지, 고용에 차별을 하지는 않는지, 제품의 안전도는 뛰어난지 등을 본다.
또 기업의 지배구조가 얼마나 투명하고 민주적인지도 평가한다.
경영진의 도덕성과 조직의 부패 정도가 어떤지도 보는 시대가 되었다.
아무리 기업이 실적이 좋아도 비윤리적인 기업이라면 시장의 냉정한 평가와 함께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게 된다.
똑똑한 투자자라면 기업의 ESG경영을 반드시 체크해야 한다.
사단법인 KCGS(한국기업 지배구조원)에서 기업의 ESG 등급을 평가, 제공하고 있다.
ESG 등급은 S, A+, A, B, B+, C, D의 7등급으로 구분되며 수시로 조정되면 결과가 공개되고 있다.
내가 투자할 기업의 ESG 등급을 체크하자!!
http://www.cgs.or.kr/main/main.jsp
KCGS 한국기업지배구조원
www.cgs.or.kr
* 주식 용어
- 패시브 투자(Passive Investment) 코스피 200 등 주요 지표의 등락에 따라 기계적으로 편입된 종목을 사고파는 투자방식. 시장 평균 수익률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액티브 투자에 비해 비용이 덜 든다. 상장지수펀드(ETF), 인텍스펀드 등이 대표적이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CI 지수란 무엇일까요? (0) | 2022.01.29 |
---|---|
테이퍼링이 시작된다 (0) | 2021.08.28 |
PER을 판단하는 방법 (0) | 2021.07.05 |
적정 주가 평가 방법 (0) | 2021.07.01 |
주식의 5대 평가지표 (1) | 2021.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