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기업의 적정 주가와 시총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는 결국 이익창출이라는 점에서 적정주가를 영업이익에서 평가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슈퍼개미 김정환님의 책 에서)
그래서 적정주가는,
주당 순이익 (EPS) × Multiple로 추정할 수 있다.
이식의 의미는 주식 한 주당 순이익에 뭔가를 곱해서 적정주가를 산정한다는 것인데, 이 Multiple을 어떻게 줄 것인지를 투자자가 잘 판단해야 한다.
성장 기업이냐, 경기민감 기업이냐 등에 따라서 Multiple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시장에는 산업별 평균 Multiple이 나와 있는데 이를 이용할 수 도 있습니다.
그러나, 뭔가 기준이 되는 나만의 Muliple이 필요할 것이다.
그래서 재무제표상에 나와 있는 ROE(자기자본 수익률)을 Muliple로 하면 좋다.
ROE는 당기순이익을 자본으로 나눈 수치로 기업이 자본을 투자하여 이익을 얼마만큼 내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기업 성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이 값이 높을수록 적은 자본을 투자하여 많은 이익을 내는 좋은 기업이고 미래 성장성도 밝은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적정주가 = 주당 순이익(EPS) × 자기자본 수익률(ROE)
ROE는 기업의 재무제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럼 위 적정 주가공식으로 셀트리온과 기업은행의 적정주가와 현재(2021.7.1)의 주가를 비교해보자.
EPS (주당순이익) |
ROE (자기자본 수익률) 20.12월 |
적정주가 | 현재주가 (21.7.1 종가) |
비고 | |
셀트리온 | 4,359 | 16.68 | 72,708 | 267,500 | 적정주가 대비 367% 고평가 |
기업은행 | 2,043 | 6.44 | 13,156.92 | 10,350 | 적정주가 대비 21% 저평가 |
적정 주가 공식에 의하면,
셀트리온은 너무 고평가 되어 절대 투자하면 안 되는 기업이다. 그러나, 바이오산업의 특성을 연구개발비가 워낙 많이 들어가 막대한 투자금이 소요되어 재무구조가 좋지 않으나 신약 개발 하나만 성공해도 기대할 수 있는 시장의 크기와 가치가 엄청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높은 멀티플을 시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기업이 처한 환경과 발전, 이슈, 정책 등 재무 외에 다양한 요소를 복합적으로 적용해서 시장의 Multiple이 적용된 것이다.
반면 기업은행은 재무제표상으로는 주가가 약 20%나 저평가되어있다. 탄탄한 기업의 주가가 이렇게 싼데 당장 매수에 들어가야 하지 않을까요?
그러나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 투자할 때는 원칙이 있는데 "성장성이 내포되어 있는 저평"여야 한다는 것이다.
아무리 주가가 싸다 해도 그 기업이 속한 산업의 전망이 사양산업이거나 그 기업의 성장이 끝났다면 매수해서는 안된다.
지금 전통 은행들의 상황이 어떠한가? 기술발달로 금융이 IT와 결합하면서 기존의 전통적 기업들은 위기를 맞고 있다. 저금리로 은행의 수익성도 악화되고 다수의 경쟁자 출현으로 시장의 파이를 빼앗기고 있는 상황이다.
투자 관점에서 지분구조가 안정적이고 높은 배당 등 또 다른 매력은 있지만 시장의 관점에서는 멀어져 거의 거래량이 없는 종목들은 한번 들어갔다가는 빠져나오지도 못할 수 있다. 기회비용도 생각해야 한다.
그래서 시장에서 재무제표상의 ROE보다도 더 Multiple를 작게 주는 것이다.
이상 영업이익(수익성)을 바탕으로 적정주가를 판단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지만,
밸류에이션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미래 현금흐름 추정을 이용하는 DCF법(투자사업의 경제성 분석에 사용되는 기법), PSR(주가매출액비율)을 활용하는 법, BPS(주당장부가치)와 ROE를 이용한 RIM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투자 초보자인 주린이들에게는 여기서 제시한 적정주가 판단법이면 충분하다.
여기서 제시한 재무제표의 ROE를 Multiple로 사용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Muliple의 개념을 잡아가면 될 것이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하기 전에 ESG 등급을 체크하자 (0) | 2021.07.06 |
---|---|
PER을 판단하는 방법 (0) | 2021.07.05 |
주식의 5대 평가지표 (0) | 2021.06.26 |
하반기 수익실현 가능 종목 (0) | 2021.06.12 |
매수 유망종목 / 소형 모듈화 원자료 (0) | 2021.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