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관리기사 응시자격에 보면 "관련학과" 대졸이라는 것이 있다.
내가 4년제 대학의 "관련학과"를 졸업했다면 그냥 시험 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럼 내가 관련학과 졸업인지 확인하고 싶겠죠!!!
근데 요게... 정말로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지 알수가 없었다. 시험을 시행하는 산업인력공단의 홈페이지에서도 안됨.
산업인력공단에 전화해서 문의하려 하다가 구글 검색을 하다 다음 자료를 찾았다...
국가 기술 자격 종목별 관련학과 지정에 대한 연구" 2019.11.7일 대림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작성하여 한국 산업인력 공단 이사장에게 제출한 보고서이다.
정말 시간이 아까워.. 국가 기술 자격증을 응시하는 사람이 엄청 많을 텐데 관련학과인지 아닌지 미리 알아보고 싶은 사람이 얼마나 많을까! 한국 산업인력 공단에 너무 화가 난다.
이 보고서 내용을 그대로 적용하여 산업인력 공단에서 시험 칠 때 관련학과를 판단하는지는 확인이 안 되지만,
일단 이 보고서 내용을 근거로 관력학과 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했다.
이 보고서는 구글에서 검색하면 PDF 파일로 다운로드 가능.
아마 보고서를 봐도 뭐가 뭔지 잘 모를 거다. 나도 2시간 이상 헤매다 겨우 알아냈다... 짜증.
온실가스 관리기사 관련학과 총 466개
먼저 내가 온실가스 관리기사 자격증에 부적합한 학과를 졸업했는지 확인하자.
이 과를 졸업했다면 관련학과가 아니니 다른 방법으로 자격이 되는지 알아봐야 한다.
부적합 학과 총 7개 : 냉동공조과, 기계공학, 냉동공조공학, 천문우주, 천문우주과학, 천문학, 화학신소재
이과가 왜 부적합한지는 보고서 확인해주세요. 아마 대학에서 배우는 내용이 시험과목과 관련성이 없기 때문이 아닐까 추정된다.
그런데, 부적합 학과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다 관련학과인 것은 아니다.
아래에 보고서에서 분류한 관련학과이다.
아마 전국 대학에 있는 모든 학과를 검토해서 총 466개의 관련학과를 뽑아낸 것 같다.
이 466개는 "환경" 관련 직무로 분류된 학과이다.
Bioinformatics and Information Management, 가스안전공학, 가스에너지공학, 건설및환경공학과, 건설안전방재공학, 건축·토목·환경계열학과군, 건축도시토목환경공학부, 건축에너지, 건축환경, 건축환경설계과, 건축환경설비, 건축환경시스템, 건축환경토목공학과군, 건축환경화학공학군, 건축ㆍ환경디자인학부, 공간사회환경공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 공간환경, 공간환경디자인전공, 공간환경시스템, 그린공조냉동설비전공, 그린산업기술, 그린생명과학, 그린시스템계열, 그린에너지설비, 그린인테리어과, 글로벌환경학, 기계에너지공학전공, 기계에너지생산공학부, 기계에너지시스템공학부, 기계원자력공학부, 기후변화및지구환경시스템, 기후변화융합전공, 기후환경에너지공학과,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 나노에너지공학, 나노융합공학, 나노화학공학과, 나노화학환경공학과, 녹색기술융합학과, 녹색산업설비, 녹지환경계획, 농생물학, 농화학, 대기과학, 대기학과, 대기환경과학, 대체에너지개발학, 도시건설환경공학과군, 도시재생전공, 도시환경건설공학과군, 도시환경계획학전공, 도시환경공학, 도시환경과, 도시환경관리, 도시환경디자인, 도시환경시스템전공, 도시환경조경과, 동력기계시스템공학과, 동력시스템공학, 동물공학과, 동물과학과, 동물보호계열, 동물복지전공, 동물산업과, 동물생명공학전공, 동물생명과학, 동물생명자원, 동물생명자원낙농과학과군, 동물생산환경, 디스플레이화학공학, 디지털전기, 디지털전기 전공, 디지털전기공학과, 물리, 물리·응용수학과군, 물리·화학·생물학과군, 물리·화학계열, 물리교육, 물리및에너지학부, 물리반도체, 물리지구해양과학학과군, 물리천문지구환경학부, 물리학과ㆍ지구환경과학과군, 물리화학, 물리ㆍ천문우주ㆍ지구환경, 물리ㆍ화학부, 물질생물화학공학부, 물질시스템공학과, 물질화학공학과, 미래에너지공학과, 미래융합학, 미생물·유전공학전공, 미생물공학, 미생물생명공학과, 미생물학, 바이오생명정보과, 바이오시스템공학,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자원환경학, 바이오정보전자전공, 바이오화학공학, 바이오환경, 바이오환경공학, 바이오환경과학, 바이오환경보건과, 바이오환경에너지학, 발전설비, 보건·생화학과, 보건관리학, 보건관리ㆍ케어, 보건바이오, 보건복지, 보건생화학, 보건식품환경계열, 보건위생, 보건환경, 보건환경과학, 보건환경교육과, 보건환경시스템학, 보건환경안전학, 보건환경위생과, 보건환경융합과학, 보건환경의공학부, 부동산·환경조경학부, 부동산환경조경학부, 분자·의생명공학, 분자과학기술학과, 분자과학부, 분자생명공학, 분자생명과학, 분자생물미생물학, 분자생물학, 분자시스템공학전공, 분자식품생명공학, 분자유전육종학, 사회기반환경공학, 사회환경공학, 사회환경시스템공, 사회환경시스템공학, 산림자원, 산림자원환경학, 산림환경자원, 산업설비자동화과, 산업환경과, 산업환경보건, 산업환경시스템, 산업환경학전공, 산업ㆍ화학공학과군, 생명·제약공학과, 생명공학, 생명과, 생명과학, 생물기전공학, 생물미생물임상병리식, 생물미생물학, 생물배양과, 생물배양생물산업학부, 생물산업공학, 생물산업기계, 생물산업기계공학, 생물산업생명공학부, 생물산업학부, 생물소재공학전공, 생물식품공학부, 생물식품및환경화공학부, 생물응용학과, 생물의약학과, 생물자원경영학전공, 생물자원공학, 생물자원과학, 생물 자원기계농촌공학과군, 생물자원기계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군, 생물자원기계학과, 생물자원시스템공학부, 생물자원학, 생물자원학부, 생물자원환경학전공, 생물정보학전공, 생물학교육, 생물해양학부, 생물화학공학, 생물환경과학, 생물환경학, 생물환경화학전공, 생물ㆍ의생명과학, 생체정보, 생체정보과, 생태공학, 생태시스템공학, 생태조경학과, 생태환경관광학부, 생태환경보전학, 생화학, 생화학공학부, 생화학분자생물학전공, 생활환경과, 생활환경복지·의류학과군, 생활환경복지학과, 생활환경정보학과, 생활환경학, 설비공학과, 세포ㆍ미생물ㆍ유전공학전공, 소방환경방재, 소방환경안전과, 수리물리과학부, 수리물리학부, 수소에너지공학과, 수자원·환경해양생산학, 수자원및환경전공, 수학물리학과군, 수학및물리기술학부, 수학ㆍ신소재물리학부, 시스템생명공학, 시스템생물학, 식량환경, 식물생산과학, 식물자원환경, 식물환경과학전공, 식물환경생명공학전공, 식물ㆍ환경신소재공학, 식품·생명·화학공학부, 식품생명공학, 식품환경, 식품환경안전학, 신소재공학, 신소재물리학전공, 신소재에너지학, 신소재환경공학, 신에너지ㆍ자원공학,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전공, 신재생에너지자원, 신재생에너지전기, 신재생전기계열 전기전공, 신재생전기에너지학, 실내건축에너지, 실내환경시스템, 안전보건학과, 애완동식물학, 에너지·환경전공, 에너지IT, 에너지IT공학과, 에너지경영공학전공, 에너지공학, 에너지공학전공, 에너지과학, 에너지관리공학과, 에너지그리드학, 에너지시스템, 에너지시스템공학, 에너지신소재공학, 에너지신소재공학전공, 에너지융합공학과, 에너지자원, 에너지자원공학전공, 에너지자원융합공학과, 에너지정보, 에너지화공전공, 에너지화학공학, 에너지화학공학전공, 에너지환경, 에너지환경계획, 에너지환경과학과, 에너지ㆍ자원공학전공, 열공학과, 우주, 원예.자원생물환경화학과군, 원예생명조경학, 원자력공학, 원자력과, 원자력과총포ㆍ광학장비과, 원자력과학및공학, 원자력및에너지공학, 원자력에너지시스템공학, 원자력에너지융합학과, 원자시스템공학전공, 원자핵공학과, 원전시스템공학, 위생과, 위생과학전공, 유기농생태, 유전공학, 융합건설시스템학과, 융합생명특성학, 융합환경과, 음향진동공학과, 응용고분자공학과, 응용생명화학, 응용생명환경화학과, 응용생물, 응용생물공학, 응용생물과학, 응용생물산업학과, 응용생물원예학부, 응용생물자원과학, 응용생물학과, 응용생물화학, 응용생물화학식품학부, 응용생물환경학, 응용생화학전공, 응용화공생명공학부, 응용화학, 응용화학공학, 응용화학공학과, 응용화학부, 응용화학전공, 의료생명공학, 의생명과학과, 의생명동물, 의생명융합학과, 의예생물·법의생물과, 의예생물전공, 의예생물ㆍ법의생물, 인간생활환경학과, 자연보호학과, 자연생태시스템공학, 자연약재과학, 자연환경공학전공, 자원생명환경학부, 자원생물환경학, 자원에너지공학과, 자원환경공학, 자원환경과, 재료환경건축공학, 재료ㆍ안전공학과군, 전기신재생에너지, 전기에너지공학, 전기에너지시스템과, 전기에너지컴퓨터공학과, 정보전자소재공학, 지경환경시스템전공, 지구과학, 지구과학교육, 지구물리학과, 지구시스템공학, 지구시스템과학, 지구시스템ㆍ재료금속공학부, 지구정보공학, 지구정보과학과, 지구천문학부, 지구해양과학, 지구환경, 지구환경건설공학부, 지구환경공학부, 지구환경과학, 지구환경보전, 지구환경시스템공학, 지구환경시스템학, 지반방재공학, 지반설계정보공학과, 지역건설환경공학, 지역생태시스템공학, 지역시스템공학전공, 지역환경기반공학과, 지역환경시스템전공, 지질.지구물리학과군, 지질환경과학, 지질환경전공, 지질ㆍ지구물리ㆍ환경과학과군, 천문기상학과, 천문대기과학과, 첨단환경분석및제어공학, 청정기술·화학공학부, 청정생산기술, 청정생산시스템전공, 청정융합과학, 청정화학공학과, 청정환경, 청정환경시스템, 친환경에너지, 태양광공학, 태양광에너지공학과, 토목·건축·환경공학부, 토목·환경학부, 토목건축환경공학과군, 토목도시환경공학부, 토목안전환경공학, 토목환경, 토목환경건축공학, 토목환경공학, 토목환경공학과, 토목환경도시공학, 토목환경산업공학부, 토목환경설계, 토목환경시스템, 토목환경시스템공학, 토목환경조경학과군, 토목환경지구정보공학부, 통합물관리학과, 한방바이오환경학과, 한방생약자원학, 해양바이오시스템공학과, 해양생명공학, 해양생명환경학과, 해양생물공학, 해양심층수학과, 해양에너지자원, 해양융합과학과, 해양자원환경과, 해양학, 해양환경, 해양환경공학, 해양환경과학, 해양환경사회기반공학연계전공, 해양환경생명과학부, 해양환경학과, 화공환경공학과, 화공환경과, 화학물질독성평가학과, 환경공학과, 환경공학전공, 환경과학과, 환경교육과, 환경대기및위성정보과학과군, 환경도시공학부, 환경디자인,환경디자인공학부, 환경및국제보건학과, 환경보건과, 환경보건과학, 환경보건시스템과, 환경보건학과, 환경보호, 환경산업과, 환경산업안전보건학과, 환경생명, 환경생명공학, 환경생활화학과, 환경설계학부, 환경설비공학과, 환경시스템, 환경시스템/정보전공, 환경시스템공학, 환경시스템관리, 환경시스템설계전공, 환경안전공학, 환경안전시스템공학부, 환경안전에너지트랙,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 환경에너지공학, 환경에너지기계공학, 환경에너지시스템공학, 환경에너지융합학, 환경원예, 환경원예디자인학, 환경위생, 환경위생화학공업, 환경융합시스템학, 환경응용과학과, 환경응용화학, 환경응용화학공학과, 환경의료재료계열, 환경자원관리전공, 환경조경, 환경조경디자인과, 환경조경학과, 환경조경ㆍ식물산업학부, 환경조형, 환경학및환경공학, 환경학환경시스템공학전공, 환경해양건설공학, 환경화공학, 환경화학, 환경화학공업과, 환경화학공학 끝. |
내가 위 학과의 4년제 대학을 졸업했다면 공부해서 온실가스관리 기사 시험을 칠 수 있다.
유사학과를 졸업하고 실무경력 4년이면 응시자격이 됨
위 환경 직무 관련학과를 졸업하지 않더라고,
환경 직무와 유사한 직무에 해당하는 학과를 졸업하고 유사분야에서 실무경력 4년이면 바로 시험을 볼 수 있다.
환경 직무와 유사하다고 분류된 직무는 아래와 같다.
아래 유사직무에 해당되는 학과는 PDF 보고서에서 확인해 보세요.
보고서 49페이지 이후의 "4. 국가기술 자격 관련 학과 지정 최종안"에서 아래 유사직무 분야별 관련학과를 확인 가능합니다.
유사직무 분야 | |
환경직무 | 생산관리(중직무),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전자(중직무), 농립어업, 안전관리 |
※ 이상은 보고서를 기준으로 개인적으로 관련학과와 유사학과를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이 방법으로만 확인하지 말고 반드시 산업인력 공단에 전화해서 응시자격이 되는지 확인하고 공부를 시작하세요.
시험공부 다하고 지원했는데 응시자격이 안된다고 할 수도 있으니.
그리고, 현재 응시자격이 안될 경우 학점은행제도를 통해서 공부해서 응시자격을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많이 정리되어 있으니 검색하여 확인하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문계약서 shall, will, may (0) | 2022.08.29 |
---|---|
Permission to dance 가사 (0) | 2021.07.10 |
구글포토 공짜 서비스 종료 (0) | 2021.04.18 |
전원주택, 연면적, 건축면적, 건폐률, 용적률 (0) | 2020.12.21 |
손해 평가사 (0) | 202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