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각 국가 사법부의 상징이 "정의의 여신상"이라는 것을 아시나요?
그러나 미국의 정의의 여신상 모습과 우리나라의 정의의 여신상 모습이 다르다고 합니다.
그래서 제가 찾아 봤습니다...
대한민국 대법원의 정의의 여신상은 1995년 박충흠 작가에 의해 제작되었다고 하네요.
이 조각상은 전통적인 서양의 정의의 여신상과 달리 한국의 정체성과 시대적 의미를 반영하고자 기획되었다고 합니다.
서방의 정의의 여신상은 고대 이집트 신화의 마아트 여신(진리, 질서, 조화, 법, 지혜의 상징), 고대 그리스 신화의 디케(질서, 공정한 판단을 관장하는 여신), 로마 신화의 유스티티아 여신(법, 정의)으로 계보가 이어져 내려옵니다.
현재 미국 및 서방의 "정의의 여신"은 유스티티아 여신을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정의의 여신상 | 미국(서방)의 정의의 여신상 | |||
외형 | 전통 한복 차림, 한국 여인, 앉아 있는 자세 | 안정감과 신중함 | 고대 그리스 여성, 서 있는 자세 | 적극적인 정의 실현 |
눈 | 눈을 뜨고 있음 | 지혜 (법전과 현실) | 눈가리개를 하고 있음 | 선입견, 편견 배제 (법과 증거) |
오른손 | 저울 | 공정함 | 저울 | 공정함 |
왼손 | 법전 | 지혜 법에따른 공정한 판단 | 칼 | 엄정한 집행 |
상징의 초점 | 힘보다 지혜, 국민과의 소통, 한국적 미학과 정체성 강조 | 엄격한 법 집행, 공정성, 객관성 강조 | ||
제작 및 기원 | 1995년, 박충흠 작가, 대한민국 대법원 | 그리스 신화의 디케, 로마 신화의 유스티티아 |
1995년 당시 기획의 의미와는 다르게, 윤석열 정권의 사법부는 앉아서 권위를 잡고 남 위에 군림하려 했고, 눈을 뜨고 정치과 권력의 눈치를 보고 있으며, 저울을 들고 차별화된 공정을 신철하고, 법전을 들고 법 기술을 발휘하고 있다.
정권 교체가 이루어지면 대법원의 정의의 여신상을 허물과 서방의 그것으로 당장 교체해야 할 것 같다...
윤석열 정권의 정의의 여신상 | ||
외형 | 앉아 있는 자세 | 권위, 군림 |
눈 | 눈을 뜨고 있음 | 정치적 눈치 보기 |
오른손 | 저울 | 대상에 따라 차별화된 공정 |
왼손 | 법전 | 법 기술의 이용 |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희대 대법원장을 탄핵해야 합니다 (0) | 2025.05.04 |
---|---|
파기환송 찬성한 대법관 모두가 서울대 법대출신이다.. (4)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