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연금저축펀드에 어떤 상품을 담아야 할까?
먼저 무엇을 담아야 할 것인지에 앞서 다음 운영방법을 명심해야 한다.
▶연금 운영 방법
1. 빨리 시작해서 장기적으로 해야 한다.
2. 변동성이 작은 상품을 선택하라.
3. 투자자산을 자주 바꾸지 마라.
이상의 조건은 복리효과를 노리기 위해서 지켜야할 운영방법이다. 소형주보다 대형주가 변동성이 작다.
코스피에 투자하는 것보다 변동성이 작은 나스닥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
4. 포토폴리오를 분산 다각화해라 (향후 10년)
각 각이 상관관계가 적은 것으로 선택해야 한다.
5. 연금은 1년정도 기간을 투고 재평가하고 다시 구성해야 한다
모니터링을 할수 없는 경우는 채권 70%, 주식 30%로 들어가 있는 혼합형을 선택해야한다
위 운영방법을 명삼하자!!
그럼 뭘 담아야할까? 시장의 장기적인 상황에 따라서 조금 다른데 현재는 Global 경기 침체기이다. 장기적이란 약 10년 정도를 봐야한다. 올해 연금 포토폴리오를 구성하는 사람은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연금의 포토폴리오 구성은 매년 한번씩 체크해줘서 경기 변동에 대비하여 포토폴리오를 바꿔야 한다.
▶연금 포토폴리오 구성
1. 장기적으로 금을 담아라
현재 2020년은 장기 경제 침체기이다. 이를 명심해야 한다.
금리가 재 기능을 못하고 있다. 전세계가 양적 완화로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2. 리츠에 투자하라
앞으로 크게 성장할 시장이니 장기적인 연금투자에 좋다.
3. 국내 50%, 해외 50% / ETF 70%, 채권 30% (IRP 퇴직연금)
▶국내 ETF TOP 5
1) 코스피 지수 추종 ETF : KODEX200
2) 배당수익 추종 ETF : KODEX Top5Plus TR
3) 국내 반도체 ETF : KODEX 반도체
4) 미국채권 추종 ETF : KODEX 미국채10년선물
5) 금 / 달러 추종 ETF : KODEX 골드선물(H) / KODEX 미국달러선물 (261240)
▶연금 저축 펀드에서 투자할 수 있는 해외 ETF
국내 연금저축 펀드에서 미국의 ETF를 직접 구입할 수 는 없다.
그래서 미국의 ETF를 추종하는 한국 ETF를 구매해야 한다. 다음의 4가지 ETF가 있다.
1) KINDEX 미국 wide moat 가치주
2) Arirang 미국 나스닥 기술주
3) Tiger 미국 나스닥 100
4) Arirang 미국 S&P 500 (H) 환헷지 상품
※ 참고 : 해외 ETF TOP 5
1) [QQQ] Invesco QQQ(나스닥100 추종 ETF)
- 자산: 99.2조원
- 배당: 0.84%
- 총보수: 0.20%
- 10년간 수익율: 430%
-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2) [SPY] SPDR S&P500(S&P500 추종 ETF)
- 자산: 286.7조원
- 배당: 2.21%
- 총보수: 0.09%
- 10년간 수익율: 238%
-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버그셔
3) [XLV] Health Care Select Sector SPDR Fund(미국 바이오헬스케어 ETF)
- 자산: 21.7조원
- 배당: 2.86%
- 총보수: 0.13%
- 10년간 수익율: 273%
- 죤슨앤죤슨, 유나이티드헬스그룹, 머크, 화이자, 애벗래버러토리스
4) [SKYY] First Trust ISE Cloud Computing Index Fund(클라우드 ETF)
- 자산: 2.5조원
- 배당: 0.44%
- 총보수: 0.60%
- 10년간 수익율: 296%
-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구글, 시트릭스, 알리바바
5) [TLT]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미국 장기채권 ETF)
- 자산: 22.1조원
- 배당: 1.85%
- 총보수: 0.15%
- 14년간 수익율: 177%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엇에 투자할 것인가? (0) | 2020.08.31 |
---|---|
주식시장의 조정은 아직 없다 (2) | 2020.08.10 |
Green Swan 시대 도래 (0) | 2020.08.03 |
데이터 센터 리츠 & ETF (0) | 2020.07.04 |
리츠란? (0) | 2020.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