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공부

Green Swan 시대 도래

똥짱89 2020. 8. 3. 00:57

올해초 국제결제은행(BIS)에서 펴낸 보고서 "기후변화 시대의 중앙은행과 금융안정"이란 보고서에서 등장한 용어.
Green Swan(그린 스완)이란 기후변화가 초래할 경제 및 금융 위기를 뜻한다. 
백조에 빗댄 여러 표현들이 있는데 아래 표에 정리했다.

 화이트 스완블랙 스완그린 스완
의미역사적으로 되풀이되는 위기예측하기 어려운 이례적인 사건기후변화가 초래할 위기
예측 가능성가우스분포, 정규분포테일 리스크, 비가우스 분포, 발행 후에 합리적 설명 가능발생 가능성 높거나 확실한 발생이 예상되나 시기나 구체화는 불확실,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움
진단통계학자, 경제학자경제학자, 금융분석가, 리스크관리 담당자과학자
영향낮거나 점진적거대, 직접적, 사건 후 조정충격 및 손실발생인간의 삶과 문명에 거대하고 직접적 충격, 대부분 경우 불가역적인 손실 발생
정책추천리스크 모델 및 관리의 개선리스크에 대한 재자각, 사건을 통해 취약성 방지 전략 설계충격의 심각성을 감안할 때, 완전히 이해되지 않더라도 근본적인 불확실성하에서 즉각적인 실행 및 공조 필요

 

재생 에너지 100% 시대로 진격

재생 에너지의 발전 단가가 3, 4년 전부터 석탄과 원전보다 싸게 되었다.

영국의 경우 해상풍력 전력 판매 가격이 원전대비 57% 낮아짐. 재생에너지는 기술발전으로 발전단가가 계속 낮아지고 있음.

미국은 해상풍력 시장이 열리기 직전이다. Next era는 시총이 130조 정도. 20년 전부터 풍력에 뛰어들어 미국에서 가장 많은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다.

해외에서는 재생에너지에 주식이 몰려있다. 

 

친환경차만 생존 가능한 시대로 변한다

EU는 2050년까지 탄소배출을 0로 하기 위해서 2030년부터 전기차, 수소차의 본격적인 생산이 시작된다.

European Green Deal  세부안 3분기 안에서 전기차, 재생에너지, 그린 리모델링, 수소 등 저탄소 배출 산업을 경제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계획

 

철강업체들은 향후 탄소배출 감축이 경쟁력의 척도로 부상.

화석에너지로 철강을 생산할 경우 탄소 국경세가 적용되고 유럽업체들은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애플이 협력업체에 2030년까지 탄소배출 0로 하기를 요구함. 협력업체는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여 부품을 생산해야힘. 대만의 TSMC은 해상풍력으로 생산한 전기로 제품을 생산할 것을 선언함.
그래서 대만에서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건설이 진행되고 있음.

신재생 에너지가 산업을 재편하는 상황..

 

테슬라의 독일 배터리 공장은 환경보호 지구인 울창한 숲에 계획되었다.

나무를 다 배어버린 공장부지를 보고 환경단체가 소송 걸었어나 독일 법원이 1주일 만에 결론을 내어준다. 공장승인. 승인 이유는 재새 에너지를 사용한 제품생산과 제품이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이기 때문.

 

Green Swan 시대에 관련 산업의 성장

전기차, 수소차, 신재생 에너지(태양광, 해상풍력) 산업의 성장이 기대되며,

그 시기는 2030년부터 본격화 되기 시작할 것임.

 

한국은 전기차 부문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와 있음.

태양광은 기술적으로 국가간 차이는 없으나, 이제 규모의 경제 싸움이다. 누가 큰 생산규모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르면 중국 업체에 뒤지고 있음. 우리나라는 유일하게 한화가 따라가고 있으나 역부족인 느낌.
풍력은 한국업체들의 기술 수준이 많이 떨어짐.

유럽의 해상 풍력은 8~15M 터빈, 국내는 현재 8M 터빈 개발단계로 기술수준이 뒤처지고 있음.

단 한국은 풍력의 전 Value Chain에 걸쳐 기계업체들이 다 있는게 장점임.

 

우리는 어떤 기회에 투자 해야 하는가?!

한국은 수소 이외에 재생에너지에서는 강력한 리더 기업이 없다.

투자에 관해서 가장 뜨거운 이슈는 단연 미국 대통령선거이다.

미국 선거에서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면 글로벌 그린산업 확대 가속화!!

2035년까지 전력부분 탄소배출 제로! 2030년부터 신축건물에서 100% 탄소배출 제로 등을 공략으로 내세움.

바이든은 Green 에너지를 내세우면서 by 아메리카를 외치고 있다.

11월 3일 선거 결과가 발표난다. Green 관련주는 그때까지 가지고 가야 한다. 미국 업체를 직접 투자하는 것이 좋고, 우리 업체들도 미국에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어 바이든이 당선되면 해택을 받는다.

 

※ 본 내용은 유튜브 삼프로TV를 보고 공부한 내용입니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엇에 투자할 것인가?  (0) 2020.08.31
주식시장의 조정은 아직 없다  (2) 2020.08.10
데이터 센터 리츠 & ETF  (0) 2020.07.04
연금저축펀드에 뭘 담아야 할까?  (0) 2020.04.02
리츠란?  (0) 2020.04.01